• 물기둥 높이 차이의 의미 및 설정기준을 아는가?
- 의미 : suction control bottle의 흡인조절 대롱과 water easl bottle의 대롱이 물에 잠겨있는 높이차이 만큼 압력으로 작용한다.
- 설정기준 : 보통 15~20 cmH2O로 설정한다.
• 배액 촉진을 위한 중재를 시행하는가?
- deep breathing
- position change
- coughing exercise
• 흉관삽입 환자 관찰사항을 아는가?
- 배액양상, 배액양
- 합병증(misplacement, hemorrhage, empyema, subcutaneous emphysema)발생 유무 관찰
- water seal bottle의 공기누출여부와 water oscillation여부
- suction control bottle의 bubbling 여부(suction 적용시)
- water seal bottle과 suction control bottle의 물 소실 여부
• 환자에게 주의사항을 교육하는가
- chest tube의 위차를 항상 가슴아래로 유지하도록 함.
- 대기중으로의 atmosopheric vent는 절대 막아서는 안됨(?)
• 흉관 관리법의 주의사항을 알고 있는가?
- atmospheric vent는 설정한 음압이 유지되도록 대기 중의 공기가 유입되는 곳이므로 절대 막지 않는다.
- suction control bottle의 (pressure?)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 흉관은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하지 않는다.[( , )이 발생할 수 있음]
- tube의 patency 유지를 위하여 정기적인 milking이나 stripping은 시행하지 않는다. (과도한 음압으로 조직손상의 위험성. chest tube 안에 clots이 보이고 patency 유지가 안될 경우 ___만 조심히 시행한다.
• CRRT 적응증
- 노폐물 제거 : BUN, Cr 증가
- 수분 제거 : pulmonary congestion/edema, u/o poor, BWT gain
- 산염기/전해질 불균형 : acidosis, hyperkalemia
• phlebostatic point
- 4th intercostal space/midaxillary line이 만나는 지점
- Lt lateral(흉골 가장자리에서 4늑골간), Rt lateral(흉골 중앙부에서 4늑골간)
• Underdamped waveform
- 수축기 높게 이완기 낮게
- 중재
-> 공기방울 확인 제거
-> IV cannula 큰 사이즈 교환
-> transducer 교환
-> pre. monioring 체계 교환
• Over damped waveform
- 수축기 낮게, 이완기 높게
- 중재
-> 공기, 혈전제거
-> 연결튜브 : 90-120cm
-> 연결부위 확인
-> 꺾인 부위 확인
욕창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