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건성안의 정의

푸헤헤헤 2023. 3. 29. 18:20
300x250
300x250

건성안의 정의

Interanional Dry Eye WokrShop(DEWS)의 정의에 따르면 안구건조증(건성안)은 눈물과 안구표면의 다인성 질환으로서 눈의 불편감, 시력장애의 증상과 안구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눈물층의 불안전성을 야기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면서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어 각막 표면이 손상 되고 그로 인하여 눈이 시리고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증상을 느끼게 되는 눈의 질환이다.

 

건성안의 원인

1.     눈물의 분비 저하

2.     눈물의 과도한 증발

3.     눈물 생성기관의 염증

4.     쇼그렌증후군, 스티븐존슨증후군 등의 질환이 동반된 경우

 

건성안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개는 나이가 들며서 눈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신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신체 면역력의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년 여성분들과 고령의 어르신들께 흔히 발견 됩니다.

 

근거리 작업을 많이하는 경우, 먼지가 많은 곳에서 작업을 많이하는 경우, 콘택트렌즈 사용, 건조한 환경, 잦은 눈화장 등 환경적인 원인결막염알러지, 쇼그렌증후군, 자가면역질환, 눈물샘 이상 및 안구 기능의 문제 등 안과적 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건성안의 증상과 징후

증상(symptoms): 주관적 소견 징후(sign): 객관적 소견
-      모래알이 구르는 듯한 느낌(sandy-gritty feeling)
-      비눗물이 들어간 듯한 작열감(Burning)
-      눈부심(photophobia)
-      이물감(Foreign body sensation)
-      눈꺼풀이 무거운 느낌(heaveiness of lids)
-      뻑뻑함(dryness)
-      가려움(itching)
-      콕콕찌르는 아픔(stinging)
-      안구피로증상(ocular fatigue)
-      쓰라림(soreness)
-      눈 자극감(eye irritation)
-      결막충혈(conjunctival injection)
 
-      눈물막 파괴 시간 감소(TBUT)
-      눈물 삼투압 증가(Osmolarity)
-      안구표면 염색정도 증가(각결막염색점수)
-      눈물분비 감소
-      기타

 

눈물의 구성

우리 눈의 표면에는 아주 미세한 두께의 보이지 않는 눈물막이 있어 눈의 보호막 열할을 합니다. 눈물막은 크게 바깥층에서부터 보면 지방층, 수성층, 점액층의 3가지 성분을 이루고 있고 이 중의 한 가지 성분이라도 부족하게 되면 눈물막이 불안정하여 눈물이 쉽게 마릅니다.

각 성분 부족에 따라서 안구건조증의 종류가 나뉘게 되어 이에 따른 치료 방법 역시 달라집니다.

최상층/지질층(Lipid layer)

눈물막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매우 얇은 층으로 지방선(마이봄선 Meibomian gland)에서 분비된 지방질로 만들어집니다. 지방층은 중간에 있는 눈물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성층이 증발하지 않도록 코팅해서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중간층/수성층(Aqueous layer)

눈물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98%가 수분이고 눈물의 적당한 수준의 산도와 염도를 유지하는 층으로 주로 주눈물샘과 보조눈물샘에서 만들어집니다.
눈물 내에는 여러 단백질 성분들과 면역글로불린, 포도당, 산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각막과 결막의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고, 눈 표면에 세균이 부착되어 감염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윤활작용을 합니다.

 

최하층/뮤신층(Musin layer)

각막 표면을 덮고 있는 점액 성분의 눈물층으로 결막의 술잔세포(goblet cell)에서 만들어집니다.
눈꺼풀이 깜박일 때 눈표면에 가해지는 힘이 안구 표면 상피에 미치지 못하게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막 표면을 보호하고 눈물층의 안정성에 기여하며 윤활유 역할을 합니다.

또한 면역조절 물질을 분비합니다.

 

눈물막의 항상성

정상 눈물막

-      정상 눈물막은 위에서 설명한 3가지 층인 지질층, 수성층, 뮤신층에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      눈물샘, 안구표면(각막, 결막, 마이봄샘), 눈꺼풀, 신경자극 전달을 포함하는 통합된 하나의 기능단위에 의해 조절되며 눈물막의 항상성을 유지합니다.

눈물막 항상성 파괴

-      다양한 원인에 의한 눈물 기능단위의 손상/소실/염증반응/눈물 내 염증물질 축적 등은 결국 눈물층 불안정화와 항상성 파괴를 야기합니다.

-      눈물층의 불안정화는 안구건조증 악화를 유발합니다.

-       

320x10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