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H(subarachnoid hemorrhage competency)
1. SAH의 발생기전
- 뇌동맥류는 뇌혈관의 근위부, 주로 circle of willis의 분지에 혈관벽의 이상으로 꽈리처럼 부풀어져 있는 것으로 배변 시나 흥분상태와 같이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될 때 파열되어 뇌지주막하에 출혈을 일으켜 임상증상을 일으킨다.
2. 호발부위 circle of willis의 위치와 이름
3. Aneurysm의 분류
1) 크기에 따른 분류
- small: <15mm
- large: 15-20mm
- giant: 25-50mm
- supergiant: >50mm
2) 모양과 원인에 따른 분류
- berry aneurysm: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목과 가지가 있다.
- saccular aneurysm: 주머니 모양의 외부낭을 가진 동맥류
- fusiform aneurysm: 동맥벽에 외부낭이 있으나 가지는 없다.
- traumatic aneurysm: 세균성 심내막염과 같은 감염으로 인한 패혈성 색전이 원인이 되어 동맥류를 형성하는 것으로 드물다.
- dissecting aneurysm: 죽상경화증, 염증, 외상과 관련된 것으로 내막이 중간막으로부터 밀려나와 혈액이 두층 사이에서 압박받게 된다.
4. SAH의 임상증상
1) 두통/오심/구토
2) 수막자극 증후(meningeal irritating sign)
- photophobia(빛 봤을 때 이상하게 보인다.)
- neck & back pain
- kernig sign(발을 잡고 하지를 복부에 가까이 하면 통증에 의해 반사적으로 슬관절이 굴곡)
- brudzinski sign(목을 앞으로 굽히면 고관절, 슬관절, 발목관절이 굴곡)
3) 의식수준 변화
4) 뇌부종과 IICP와 관련된 증상
- seizure
- 안저(fundus) 검사상 유두부종
- cushing triad(hypertension, bradycardia, pulse pressure 상승)
5) 국소적 징후
- 혈관 위치와 뇌대 출혈과 관련하여 hemiparesis, hemiplegia(편마비), asphasia(실어증)가 나타날 수 있다.
5. SAH 진단방법
1) Brain CT
2)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3) TFCA(4-vessel angiography)---어디 터졌나 보려고
6. SAH의 보존적 치료
- ABR: 조용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재출혈을 유발하는 혈압의 상승을 예방(pain control!!)
- Elastic stocking& compression boots: 침상안정에 의한 부동의 결과로 인한 DVT와 폐색전즈으이 위험을 예방
- BP control: 고혈압은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조절되어야 하며 저혈압은 뇌허혈을 유발하기 때문에 막아야 한다.
- Fluid volume control: 탈수는 hemoconcenturation을 일으켜 vasospasm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또한 뇌부종 시 fluid restriction이 처방될 수 있으므로 정상범위의 체액량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euvolemic state)
- Drug therapy
-> Osmotic diuretic : 두개강내압의 조절을 위해 만니톨이나 cerol 투여
-> anticonvulsant : 경련은 혈압을 상승시키고 재출형릉 초래하며 산소 소모량을 증가시키므로 예방되어져야 한다.
-> sedatives : 뇌막자극증상으로 인한 불안정한 환자를 안정시키며 재출혈을 예방하나 지나친 사용은 신경학적 사정을 어렵게 한다.
-> analgesics : acetaminophen, demerol등이 처방된다.
-> antipyretic(해열제) : 뇌조직의 대사증가로 체온이 올라가며 shivering은 뇌압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주의깊게 관찰한다. Hypothermia blanket과 함께 acetaminophen을 투여한다.
-> stool softner-배변시 긴장을 예방하여 재출혈을 예방
-> calcium channel blocker ; nimodipine
7. SAH의 수술방법
-Clipping(결찰) : 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를 결찰하여 동맥류에 가해지는 혈압을 낮춰서 동맥류 파열의 가능성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동맥류내의 혈전 형성을 유도하고자 하는 방법
- trapping(포착) : 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와 원위부를 결찰하여 동맥류를 체순환계로부터 완전 차단시키는 방법
-> 동맥류 경부가 넓거나 거대 동맥류의 경우 결찰이 곤란하며, 그 부위의 혈류를 차단하여도 원위부의 혈액 공급에 장애가 없는 경우 사용
- ballon embolizatino/coil embolization
- Wrapping(포장) : 동맥류를 거즈, 근육, 인조섬유 혹은 접찾게 등으로 감싸주어 재출혈의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
8. SAH의 합병증
1) Rebleeding
-수술 받지 않은 환자 중 30%
-임상 양상은 첫 출혈의 경우보다 더 심각하다.
-예방 : 침상 안정, 조기 clipping op, 혈압조절
2) hydrocephalus
-basal cistern(뇌 기저조)내의 blood clot arachnoid villi내의 obstruction, ventricular system내의 blood clot이 CSF의 재흡수를 방해하기 때문
3) expanding hematoma
-주위 뇌조직을 압박하여 의식수준 악화 및 신경 결손의 진행
-치료 : 수술적 제거
4) epilepsy
-출혈에 의해 대뇌피질의 손상 시
-seizure시 rebleeding 유발 가능성
-예방적 항경련제 투여
5) vasospasm
-뇌혈관이 좁아지는 것
-unknown mechanism
!!초기 출혈 후 4-14일에 호발(7일 최고)
9. Extracranial complication
- MI, Cardiac arrhythmia, ventricular fibrillation
병태생리 : 시상하부의 허혈성 손상-> 카테콜라민 분비-> 심근병변
- pulmonary edema
병태생리 : 광범위한 교감신경계 자극에 의해
증상 : 핑크색의 거품 많은 객담, 청진 소견, 흉부 x선 확인
- Gastric hemorrhage : stress ulcer
erosion(부식)으로 위출혈 발생할 수 있으나 심하지 않다.
10. Vasospasm이 침범된 동맥의 지배영역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3행 선택3행 다음에 행 추가
- 4행 선택4행 다음에 행 추가
침범동맥
|
지배영역
|
임상증상
|
ICA
|
후두엽, basal ganglia,
간뇌의 2/3, 대뇌반구의 대부분 |
심한 뇌부종+ACA/MCA에 관계된 광범위한 결손 증세
|
ACA
|
basal ganglia, 대뇌반구 앞쪽4/5
|
contralateral hemiparesis, sensory loss
정서 및 행동 변화 : 집중력 감서, abulia(무의지증) 양측성 병변 : gait apraxia(걸음 이상), urinary incontinence |
MCA
|
basal ganglia, int. capsule
frontal and parietal lobe temporal lobe의 측상부와 parietal lobe의 후하부 |
contralateral hemiplegia
contralateral homonymous hemianopisa 반대측 시야 결손 |
PCA
|
중뇌상부와 시상핵
측두엽의 내측과 하측 후두엽의 대부분 |
피질분지 폐색 반대측의 시야결손을 비롯한 시각과 관련된 일련의 증상
안구의 수직운동 마비, 의식장애, 운동장애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11. TCD(transcranial doppler, 경두개 도플러)의 의미, 해석, 정상수치
TCD
-도플러 검사상 혈관내 혈류가 뚜렷이 증가된다면 임상양상이 나타나지 않아도 vasospasm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arterial lumen이 좁아짐-> TCD 상 blood flow velocity 증가
-post op 1 day f/u
TCD interpretation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3행 선택3행 다음에 행 추가
mean MCA velocity
(cm/sec) |
MCA : ICA ratio
|
interpretation
|
<120
|
<3
|
normal
|
120-200
|
3-6
|
mild vasospasm
|
>200
|
>6
|
severe vasospasm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혈관별 정상수치(cm/sec)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혈관명
|
MCA
|
ACA
|
ICA
|
PCA
|
Mean velocity
|
80
|
48
|
75
|
38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나온 수치중에 절댓값 중 가장 큰 것
15. Vasospasm의 예방을 위한 3H therapy
-Hypervolemia : CVP 10mmHg, 충분한 수분 공급(최신 trend는 euvolemic)
-Hypertension : SBP 160-200mmHg, 혈압강하제 사용시 유의(최신 trend는 normotensive)
- Hemodilution: hematicrit 33-35%
16. Vasospasm 기준
-매일 30cm/sec이상 상승하거나 Mean velocity가 120cm/sec 이상 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