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이뇨제 종류

푸헤헤헤 2023. 5. 15. 22:30
300x250
300x250

 

Loop 이뇨제

 

-대표약물 : Furosemide(lasix)

: Torsemide(torem), Bmetanide(bumex), Ethacrynic(edecrin),

 

- 상행 헨리고리에서 Na+과 Cl-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K+의 배설을 증가시킨다.(즉 NA+/K+/Cl- 의 배설 증가)

-> lab을 통해서 K+(포타슘)이 부족할 경우 보충해주어야 하며, hypokalemia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해야한다.

 

- 사구체여과율 25%로 이뇨제 중에 가장 강하고 작용시간이 빠름.

 

- 고혈압 치료에도 사용되나, 혈압 조절 만을 위해 lasix를 선택적 약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 소변량이 감소한 환자에게 continuous 하게 주기도 한다.

 

- lasix를 continuous 하게 주입하는 경우 다른약물과 함께 주입하면(ex. NE, Dobutamine 등) 결정이 생겨 주입라인을 막을 수 있

어서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음.

 

- 이뇨효과가 매우 강력하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어도 효과를 발휘하여 심장기능저하혼자나 신장기능 저하 환자의 고혈압 치료에 사용

 

Thiazide 이뇨제

 

-대표약물 : chlorthalidone(hygroton,thalitone, dichlozid), metolazone (diulo, mykrox, zaroxolyn)

: bedroflumetiazied(naturetin), chlorothazide(diuril), Indapamide(lozol), methyclothiazied(aquaatensen, enduron),

hydrochlorothiazied(esidrix, hydrodiuril, mirozide, oretic, DCZ),

 

-원위곱슬세뇨관에서 Na+재흡수를 억제하며 K+ 배설을 증가시킨다. (즉 NA+/K+/Cl- 의 배설 증가)

 

- 세뇨관 세포막에 직접 작용하여 신기능이 감소된 경우 효능이 떨어짐

 

- 사구체 여과율 10%로 loop계열보다는 효과는 적음.

 

- 고혈압(소동맥을 이완시키는 작용), 부종을 치료할 때도 쓰인다.

 

칼륨보존 이뇨제 Potassium-Sparing diuretis

 

-대표약물 : Spironolactone(Altactone), Amiloride(midamor)

 

-알도스테론과 길항작용을 하고 원위 세뇨관 끝과 집합관에서 Na+배출은 늘어나고 K+배출은 억제된다. Hypokalemia를 유발하는 약제의 부작용을 감약시키기 위한 보조요법으로 주로 쓰인다.

 

- 신장질환을 갖고 있으면 혈중 칼륨 농도 증라고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고 hyperkalemia 유발

 

- 부작용 :

-> 칼륨 증가치를 모니터링 해야한다.

-> Spironlactone은 화학적으로 성호르몬과 비슷하여 남자는 여성형 유방, 여자는 무월경, 생리불순을 관찰해야 한다.

-> 이뇨효과가 느리게 나타나며 중단하고 2-3일 후에도 효과가 지속될 수 있다.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Carbonic anhydrase inhibitor

 

- 대표약물 : Acetazolamide(다이아막스 정), metazolamied

 

- H+의 배출이 감소함에 따라 교환되어 재흡수 되는 Na+양이 줄어들어 이뇨작용을 촉진시킴

 

- 방수 생성 감소역할도 있어 녹내장 치료로도 사용됨.

 

- 부작용 : H+가 체내에 축적됨에 따라 metabolic acidosis가 나타날 수 있음.

 

삼투성 이뇨제 Osmotic diuretics

 

- 대표약물 : Mannitol, Glycerol

 

- 세뇨관으로 여과된 약물이 근위신세뇨관의 삼투압을높여 H2O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urine양을 늘린다.

 

- Mannitol은 BBB를 열어 증가된 ICP 감소에 사용되며 안내압감소, oliguria시 이뇨촉진 등에 사용됨.

 

- Full drip하여 100ml 10-30분 정도의 속도로 빠르게 주입해야 하는데 이는 만니톨의 혈중 농도를 유지하여, 급격한 삼투압차로 인해 혈관 밖으로 정체된 수분을 빼내는데 효과적이다. 천천히 주입할 경우 혈관에 저류하게 되는 만니톨은 혈관밖으로 서서히 빠져나가 간질강내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부작용 : 반복투여시 고칼륨혈증으로 인하여 대사성 산증 위험이 있고, 재흡수 되지 않고 남은 약물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급성 두개내혈종, 중증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폐울혈시는 사용하지 않는다.

 

 

320x100
300x250